투자분석/꼭 필요한 금융지식

정리) 펀드의 유형, 투자 대상, 유형별 개념 정리

한그마 2020. 12. 18. 07:30

과거 10년 전에 펀드 투자가 열풍인 때가 있었습니다.

펀드에 투자하기만 하면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다라는 희망 아래에서 많은 분들이 펀드 투자를 감행했었는데요, 펀드 투자의 가장 중요한 부분인 "원금 미보장"을 숙지하지 못하고 투자한 경우가 다반사라 손실을 보고 펀드 환매를 한 개인투자자들이 많은 것으로 기억됩니다.

 

펀드 투자를 하기 전에는 반드시 펀드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확실하게 정리하고 투자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물론 펀드 뿐만 아니라 모든 금융 상품을 투자할 때에는 그 상품의 약관이나 설명서를 꼭 읽어보는 것이 중요한데요, 펀드처럼 원금 미보장 상품은 이러한 활동이 더욱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펀드의 유형과 펀드가 투자하는 대상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펀드의 다양한 종류는 무엇인지 개념 정리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펀드 투자의 이점

펀드 투자를 하는 것은 크게 3가지 이점이 있습니다.

1. 소액으로 분산투자가 가능

만약, KOSPI200 지수에 해당하는 모든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담는다고 한다면, 200개 회사의 모든 주식을 사는 데에 굉장히 많은 비용이 듭니다. 소액으로는 대규모 자금이 발생하는 포트폴리오를 절대 구성할 수 없는데요, 여러 사람들의 자금을 모아서 운용하는 펀드의 특성상 분산투자가 가능합니다.

2. 투자 자산이 전문가에 의해 운용 및 관리

개인투자자들은 아무래도 기관 및 전문가에 비해서 정보력이 딸리는 것은 물론이고, 얻은 정보를 분석하는 능력이 비교적 약합니다. 이러한 개인투자자들의 한계는 펀드를 운용하는 전문가들에 의해 극복될 수 있습니다.

3. 비용절감

펀드는 대규모로 투자하고 운용되기 때문에 거래비용이 확연하게 줄게됩니다. 그리고 개인투자자 자신들이 투자하는 투자금을 관리하는데 필요한 시간 및 노력을 줄일 수 있습니다.


펀드의 유형

기본 유형

가장 기본적으로 중도 환매가능 여부, 투자 자금의 추가 불입 가능 여부, 투자자금의 모집 대상과 같이 3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준 펀드의 종류 특징
환매여부 개방형 펀드 환매 가능, 운용 후에도 추가로 투자자금 모집 가능
폐쇄형 펀드 환매가 원칙적으로 불가, 첫 모집 당시에만 자금 모집 가능
추가불입여부 단위형 펀드 추가 불입 불가, 기간이 정해져 있음
추가형 펀드 수시로 추가 불입 가능
자금모집방법 공모형 펀드 불특정 다수의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모집
사모형 펀드 49인 이하의 투자자들(소수)로부터 자금을 모집

투자대상에 따른 유형

증권시장에는 주식/채권/부동산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금융상품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펀드도 위와 같이 어떤 자산에 투자할 것인가에 따라 유형이 분류됩니다.

유형 펀드 종류 설명
주식형 성장형 펀드 상승 유망종목에 투자하여 높은 수익을 추구
가치주형 펀드 시장에서 저평가되는 주식을 발굴하여 투자
배당주형 펀드 배당금을 많이 주는 회사에 투자
섹터형 펀드 업종의 대표기업에 집중투자
인덱스 펀드 KOSPI200 지수와 같은 지표를 추종하도록 설계
채권형 하이일드 펀드 BB+ 이하인 투기등급채권 및 B+이하인 기업어음에 투자
회사채 펀드 BBB- 이상인 우량기업의 회사채에 투자
국공채 펀드 국공채에 투자
MMF 펀드 단기금융상품(양도성예금증서, 기업어음, 국공채, RP 등)에 투자하여 시장이자율 변동이 반영하도록 하는 펀드
혼합형 주식과 채권에 각각 60% 미만으로 투자한 펀드

투자 대상인 주식 및 채권에 60% 이상, 미만인지에 따라 주식형, 채권형, 혼합형으로 구분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자산에 60% 이상을 주식에 투자한다면 주식형 펀드, 채권에 60% 이상 투자한다면 채권형 펀드인 식입니다.


종류형 펀드란?

시장에 출시되어 운용되고 있는 펀드의 이름을 보면 '(A)', '(Pe)'와 같이 마지막에 로마자가 표시되어 있습니다.

운용 방식은 동일하지만 펀드투자 비용 부과 체계가 다른 여러 펀드를 구분하기 위한 것인데요, 이러한 펀드들을 종류형 펀드 또는 멀티클래스 펀드라고 부릅니다.

펀드 투자를 하기 전에 자신에게 적합한 종류(클래스)를 선정할 수 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구분이 가능합니다.

종류 내용 특징
판매수수료 수수료선취(A) 가입시 선취판매수수료가 부과됨 환매가능성이 있는 장기투자에 적합
수수료후취(B) 가입후 일정기간 내에 환매시 후취수수료가 부과됨 환매가능성이 낮은 장기투자에 적합
수수료미징구(C)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가 없으나 연간 보수가 높은 펀드 단기투자에 적합
수수료선후취(D) 선취, 후취 판매수수료가 모두 부과됨 -
판매경로 온라인(e) 인터넷 전용펀드로 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펀드보다 판매수수료 및 판매보수가 저렴 별도의 투자권유 및 상담서비스는 제공되지 않음
오프라인 오프라인 전용펀드로 온라인으로 판매되는 펀드보다 판매수수료 및 판매보수가 높음 별도의 투자권유 및 상담서비스가 제공
온라인슈퍼(S) 펀드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저비용 펀드 -
직판(J) 자산운용사가 직접 판매하는 펀드 -
기타 보수체감(CDSC) 보유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판매보수가 낮은 종류의 펀드로 자동 전환하는 펀드 -
무권유저비용(G) 별도의 투자권유 없이 펀드를 매수하는 경우로서 오프라인으로 판매되는 펀드보다 판매 수수료 및 판매보수가 낮은 펀드 -
개인연금(P1) 연금저축계좌를 통해 매입이 가능한 펀드 -
퇴직연금(P2) 퇴직연금 및 개인퇴직계좌(IRP)를 통해 매입이 가능한 펀드 -
주택마련(H) 장기주택마련저축의 용도로 판매되는 펀드 -
고액(I) 법인 또는 거액개인고객 전용 펀드 -
랩(W) WRAP 전용 펀드 -

마치며

지금까지 펀드의 이점과 종류, 유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앞으로는 펀드에 투자하기로 결심했는데 이름만 보고도 무슨 펀드인지 이해를 할 수 있으실 겁니다.

금융투자 방면 지식은 알면 알수록 복잡하고 어려운데요, 개념부터 차근차근 잡아가면 큰 그림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