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분석/꼭 필요한 금융지식

상장폐지 요건 알아보기 - 코스피/코스닥

한그마 2020. 11. 22. 07:30

내가 산 주식이 상장폐지되면 어떻게 될까요?

주식이 상장폐지가 되면 일반적으로 증권거래소에서 거래가 불가능합니다.

다만 주식 자체가 휴지조각이 되는 건 아닌데요, 한국거래소에서 정의하는 상장폐지 요건에 충족되어서 상장폐지되는 것뿐이라, 주식 자체는 살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상장폐지 요건에 충족된다는 것은 그 기업의 미래 전망이 어둡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해서, 주식의 가치가 아주 떨어지게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국거래소에서 정리한 "상장폐지 요건"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상장폐지 조건

회사가 상장폐지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이 2가지로 나열됩니다.

  1. 상장된 법인이 주주총회의 결의를 통해 상장폐지를 신청하는 경우
  2. 한국거래소에서 마련한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상장폐지 주요 기준

아래 표는 한국거래소에서 발췌한 상장폐지 기준입니다.

사유 구분 유가증권 시장 코스닥 시장
사업보고서 미제출 제출기한으로부터 10일 이내 미제출시
반기/분기보고서 미제출 차기보고서 미제출 2년간 3회 분기/반기 사업보고서 미제출
영업활동정지 영업활동 정지시
부도/은행거래 정지 주권영업정지
자본잠식 자본전액잠식 또는 50% 이상 2년 계속될 시
주식분산기준 미달 2년 연속 소액주주 수 200명 미만 또는 10% 미만 2년 연속 소액주주 수 200명 미만 또는 20% 미만
회생절차 개시신청 법원의 회생절차개시신청 기각, 개시결정 취소, 회생계획 불인가 및 회생절차폐지 결정시
거래소의 정기적 심사결과 상장적격성 불인정시
사외이사 미선임 등 지배구조 미구축 2년 연속
월평균거래량 1% 미만 2반기 연속 2분기 연속
공시의무 위반 고의 혹은 중과실에 의한 위반
매출액 2년 연속 사업연도 50억원 미만 2년 연속 사업연도 30억원 미만
주가 90일 중 액면가 20% 이상 10일 계속 및 누적 30일 요건 미충족시 -
시가총액 90일 중 50억 이상 10일 계속 및 누적 30일 요건 미충족시 90일 중 40억 이상 10일 계속 및 누적 30일 요건 미충족시

채권 상장폐지 기준

  • 사채의 경우 발생회사의 자본금이 5억원 미달되는 경우 및 기타 주권 상장폐지 기준에 해당될 시
  • 국고채, 지방채, 특수채, 보증사채, 담보부사채는 제외됨
  • 모든 채권의 경우 만기상환 또는 전액 중도상환, 신주인수권, 전환청구권, 교환청구권의 교환 행사가 완료될 시

지금까지 유가증권시장 및 코스닥 시장의 상장폐지 기준과 채권 상장폐지 기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가 투자할 회사가 상장폐지 요건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는지 여부를 심도 있게 검토해야 할 것 같습니다.

상장사의 거래량과 매출액, 주가, 시가총액은 온라인 매체를 통해 쉽게 볼 수 있기 때문에 개인투자자도 투자 전 충분한 검토가 가능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