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가장 유명하고 거래량도 많은 ETF는 "코스피 200" 지수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이 ETF가 추종하는 코스피 200 지수는 시가총액이 큰 회사를 기준으로 만든 상위 200개 종목을 담고 있는데요, 국내를 대표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코스피 지수에는 여러가지 파생된 지수가 있는데, 코스피 200 지수는 그 중 하나일 뿐이고 코스피 100, 코스피 50 등 다양한 지수가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코스피 100" 지수가 무엇인지, 이 지수를 추종하는 ETF가 어떤게 있는지 비교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코스피 100 지수
개요
- 코스피 200 지수의 선정기준을 통과한 구성종목 중 다시 시가총액 상위의 우량 100개 종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매년 2회에 정기변경합니다.(코스피 200 선물시장 6, 12월 결제월 최종거래일의 다음 매매일)
상세 분석
2020년 12월 30일 기준으로 전기전자업이 4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서비스업, 금융업 등이 뒤를 있고 있는데요, 전기전자를 제외한다면 각 섹터별 종목 분산이 고루 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코스피 100 지수가 보유하고 있는 상위 10개 기업을 나타낸 표입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선두를 지키고 있습니다. 섹터별 종목이 겹칠 경우 어느 하나는 빼고 구성하는 지수가 많은데요, 코스피 100 지수는 시가총액으로 분류하는 방식이라서 섹터별로 종목 겹치는 것은 고려하지 않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비중이 아주 높기 때문에 코스피 100 지수는 반도체 산업의 성과에 다소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지수 성과
위 표는 코스피/코스피100/코스피200 지수의 수익률을 10년간 추적한 그래프입니다.
같은 코스피 지수지만 상위 100개 혹은 200개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수익률이 극명하게 갈리는 것을 볼 수 있습니
다.
어떤 경제 사이클에 투자를 진입했는지에 따라 각 지수의 수익률이 명확하게 갈릴 수 있겠네요.
코스피 100 지수추종 ETF
KODEX 코스피100 | KOSEF 코스피100 | 파워 코스피100 | 마이티 코스피100 | |
운용사 | 삼성자산운용 | 키움투자자산운용 | 교보악사자산운용 | DB자산운용 |
상장일 | 2016년 1월 27일 | 2012년 2월 28일 | 2011년 5월 3일 | 2012년 7월 5일 |
종목코드 | 237350 | 153270 | 140950 | 159800 |
시가총액 | 138 | 127 | 147 | 119 |
20일 평균거래량 | 8227주 | 1293주 | 671주 | 23주 |
운용수수료 | 0.15% | 0.195% | 0.155% | 0.39% |
현재가 | 30,530 | 30,250 | 30,620 | 29,685 |
- 시가총액 : 파워 > KODEX > KOSEF > 마이티
- 운용수수료 : KODEX < 파워 < KOSEF < 마이티
특이한 점은 KODEX 상품이 경쟁 ETF에 비해서 4년 이상 늦게 상장한 후발주자인 것입니다. 보통 KODEX는 운용 수수료가 높기로 유명한데, 코스피 100 지수 추종 상품만큼은 경쟁 ETF에 비해서 가장 저렴합니다.
마이티 상품은 거래량이 처참한 수준인데요, 운용수수료가 비교적 월등히 높기 때문에 이 상품에 투자할 이유가 있을까 싶네요.
'ETF 리뷰 > 국내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4차산업 데이터센터 부동산(리츠)에 투자하는 ETF, 해외 ETF와 비교 (0) | 2021.01.16 |
---|---|
ETF 비교) KODEX 증권 vs TIGER 증권 - 수익률 차이는? (0) | 2021.01.12 |
예적금보다 이자를 많이 주는 곳이 있다 - KOSEF 통안채1년 (0) | 2021.01.03 |
신규ETF) KODEX K-이노베이션액티브, 혁신성장 기업에만 투자하기 (0) | 2020.12.27 |
신규 ETF) 신흥국MSCI인버스, 신흥국에 역방향으로 투자하기 (0) | 2020.1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