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8월 7일자로 미국 S&P500 현물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는 국내 상장 ETF가 신규 출시되었습니다.
KINDEX 미국S&P500 - 네이버 금융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TIGER 미국S&P500 - 네이버 금융 : 네이버 금융
관심종목의 실시간 주가를 가장 빠르게 확인하는 곳
finance.naver.com
기존에도 미국 S&P 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 상품이 있었지만, 새로 나온 2개의 상품은 환헷지가 되지 않은 점이 다릅니다.
즉, 내가 산 시점보다 환율이 오를 경우 추가 이익을 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신규 ETF 비교
상장된 ETF를 간단한 표로 비교해보겠습니다.(2020년 8월 14일 기준)
KINDEX 미국 S&P500 | TIGER 미국 S&P 500 | |
운용사 | 한국투자신탁운용 | 미래에셋자산운용 |
기초지수 | 美 S&P 500 Index | |
시가총액 | 306억원 | 172억원 |
거래량 | 63,181 | 216,688 |
수수료(보수) | 0.09 | 0.3 |
현재가 | 10,200원 | 10,095원 |
특이할 점은 "KINDEX 미국 S&P 500" 종목은 수수료가 0.09%밖에 되지 않습니다.
미국의 "SPY" 종목과 동일한 수수료율을 가지고 있으며, 환전 수수료나 거래 시간 등을 감안해볼 때
적립식 연금저축펀드에서 운용하기 좋아 보입니다.
TIGER가 비록 3배 이상의 거래량을 보이고 있지만, 단기적인 브랜드가치로 거래자금이 몰린것으로 보입니다.
향후 KINDEX의 저렴한 보수가 소문이 난다면 거래량도 충분히 늘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물론 현재 거래량도 나쁜 수준은 아니지만요.
해외 상장 ETF(SPY) 비교
미국의 S&P 500 인덱스 지수를 추종하는 "SPY" ETF와 구성 종목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위의 표를 볼 때, 최대한 SPY와 유사한 비율을 가져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운용사에서 향후 운용을 잘 해서 SPY와 최대한 비슷하게 S&P 500 지수를 추종하면 좋겠네요.
SPY는 처음 상장된 1993년에 비해서 현재 그 가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됨을 볼 수 있습니다.
새로 상장된 ETF를 10년 이상 적립식으로 매수해 간다면 자산가치가 엄청나게 증식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관련하여 관심있는 소비자의 니즈를 충분히 충족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미국처럼 한국에도 다양한 ETF 상품이 출시되길 바라봅니다.
'ETF 리뷰 > 미국 ETF'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ETF] NTSX - 주식 60 / 채권 90 비율로 레버리지 투자, 수익률은? (0) | 2020.08.21 |
---|---|
[미국ETF] SPTL - 미국 장기국채에 투자하기 "저렴한 TLT" (0) | 2020.08.20 |
[미국ETF] SPLG - S&P500 지수를 추종하는 "저렴한 SPY" (0) | 2020.08.20 |
[미국ETF] SPHD - 매월 안정적인 배당받기, 이 보다 배당 더 주는 종목은? (0) | 2020.08.19 |
[미국ETF] RPAR - 사계절 포트폴리오, 한방에 투자하기 (0) | 2020.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