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개념정리/경제통계

전국민 금융이해력은 얼마나 될까? - 결과 보기

한그마 2020. 12. 12. 07:30

한국은행과 금융감독원은 2년마다 한 번씩 전 국민의 "금융이해력"을 조사합니다.

국제 기준(OECD/INFE)에 따라 금융지식, 금융행위, 금융태도와 관련된 문항을 평가하는데요,

이번에 소개할 금융이해력 조사 결과는 2018년도의 데이터입니다.


부문별 금융이해력 수준

1. 금융지식(Financial Knowledge)

금융지식은, 소비자가 금융 상품이나 서비스를 비교하고 적절한 정보에 입각한 금융 의사결정을 내리는데 도움이 되는 기본지식을 뜻합니다.

  • 금융지식 점수는 OECD 평균(69.1점)보다 낮은 65.7점으로, 연령이 높을수록 금융지식 이해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남자가 여자보다 소폭 이해도가 높았습니다.
  • 복리 계산에 대한 이해도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2. 금융행위(Financial Behavior)

금융행위는, 재무계획과 관리, 정보에 입각한 금융상품 선택 등 금융과 관련하여 소비자가 하는 행위를 뜻합니다.

  • 금융행위 점수는 OECD 평균(61.3점)보다 낮은 59.9점으로, 30대가 금융행위가 가장 활발하며, 20대를 제외하면 연령이 높을수록 점수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성별간 금융행위 점수의 차이가 거의 없었습니다.
  • 가계수지 적자 해소, 적극적인 저축 활동에 대한 항목은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장기 재무목표 설정, 신중한 구매, 평소 재무상황 점검 항목 점수는 50점을 넘지 못하였습니다.

3. 금융태도(Financial Attitude)

금융태도는, 비와 저축, 현재와 미래, 돈의 존재가치 등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냅니다.

  • "소비 선호" 및 "현재 선호" 경향이 "미래 선호" 및 "저축 선호" 보다 낮습니다.
  • "돈은 쓰기 위해 존재"에 대한 동의는 반대에 비해 높게 나타났습니다.
  • 위험선호자는 위험기피자보다 "저축보다 소비 선호", "미래보다 현재 선호", "돈은 쓰기 위해 존재"에 동의한다는 응답이 많기 때문에 현재의 삶 및 소비를 중시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4. 기타

  • 우리나라 성인들은 자신의 돈을 직접 관리(85.7%)하고 있으며, 가계에서는 단독 또는 가족 구성원과 금전관리를 공동으로 하는 것(93%)으로 나타났습니다.
  • 월소득 정도의 예상하지 못한 지출이 발생할 경우 돈을 빌리거나 가족의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감당할 수 있는 성인의 비율은 59.9%로 나타났습니다.
  • 대학등록금, 자동차 구입, 빚을 지지 않고 사는 것과 같은 재무목표를 가지고 저축하는 성인의 비중은 39.3%로 나타났으며, 재무목표 달성을 위한 수단 별 활동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재무목표 보유 응답자 기준

  • 노후 및 은퇴 대비 재무계획에 대해서는 우리나라 성인 중 "자신 없다"가 31.1%, "자신 있다"가 16.3%로 나타났습니다. 이들이 생각하는 은퇴자금 조달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합 평가

  • 금융지식, 금융행위, 금융 태도 부문 모두 OECD 평균을 하회하는 수입니다.

의견

위 데이터에서 보신 대로 우리나라 사람들의 금융이해력은 전 연령에서 점수가 낮게 나왔습니다.

대학생 및 사회 초년생 등 청년층은 현재 및 소비 중시 경향을 가지고 있고, 저소득층 및 노년층 등 취약계층은 전반적으로 금융이해력이 낮은 결과가 보입니다.

청년층에게는 소비 인식을 바꿔서 노년을 대비하도록 하는 인식 방향 전환이 필요해 보입니다.

노년층에게는 금융지식과 금융행위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대대적인 금융교육이 필요해 보이네요.

 

우리가 살면서 가장 큰 고민을 하게 되는 부문이 바로 "금전문제"가 아닐까요?

자본주의 사회를 사는 사람들에게 금융에 대한 이해는 그 무엇보다 중요한 사항입니다.

초/중/고등학교에서부터 체계적인 금융교육을 실시한다면 국민들의 금융이해력이 이토록 낮게 나오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학생들이 대학을 가기 위해 수학과 영어 문제 푸는 것도 중요하지만, 입시를 너머 이후의 삶을 사는 데에는 금융에 대한 이해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더보기

2018 전국민 금융이해력 조사결과 원본

2018년 전국민금융이해력조사.hwp
1.58M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