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액티브 ETF 3

[미국ETF] PTNQ - 나스닥에서 모멘텀 전략을 구사하는 액티브 ETF

액티브 vs 패시브 투자전략 주식시장에는 다양한 투자전략이 있습니다. 가장 많이 알려진 전략으로는 "액티브"와 "패시브"형 투자 방법이 있는데요, 간단히 설명하면 액티브 전략은 시장의 추세를 분석해서 앞으로의 수익이 더 잘 나올 것이라고 예상되는 분야에 능동적으로 포트폴리오를 변경해가며 투자하는 것이고, 패시브 전략은 특정한 지수를 추종하는 등 비교적으로 고정된 자산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시장 상황에 따른 수익률 차이 주식 시장이 앞으로 우상향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면 액티브 전략을 구사한 ETF의 수익률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시장 상황에 따라 구성 자산을 계속 변경해나가기 때문에 장기적인 수익률이 떨어질 수 있는 건데요, 이때 패시브형 ETF는 주가 지수를 추종하도록 설계가 되어있기 때문에 리밸..

신규ETF) KODEX K-이노베이션액티브, 혁신성장 기업에만 투자하기

계속되는 저금리 기조로 주식시장에 대한 투자 열기가 뜨겁습니다. 부동산에 대한 강도 높은 규제도 증권시장에 자금 유입을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는데요, 2020년 연초에 비해서 코스피, 코스닥 지수도 굉장히 많이 올랐습니다. 개별주식과 더불어 ETF에 대한 관심도 날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는데, 자산운용사들은 이에 발맞춰서 다양한 ETF 상품을 출시하고 있네요. 한국거래소는 2020년 12월 24일에 "액티브 ETF" 종목을 신규 상장한다고 발표했습니다. "KODEX K-이노베이션엑티브"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는 새로운 액티브 ETF가 한국시장에 출시됩니다. 지금부터 이 ETF가 어떤 건지, 추종하는 지수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종목 개요 상품명 KODEX K-이노베이션엑티브 종목 코드 37..

국내최초 액티브ETF 상장 - '인공지능'이 투자하는 ETF, 어떤걸까?

금융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라면 ETF 거래를 한번 이상 해본 경험이 있으실 겁니다. ETF는 개별 종목보다 비교적 안정적인 등락을 보이고, 자산운용사가 리밸런싱도 자동으로 해주는 등 여러 이점이 많은데요, 이번에 새로 상장하는 ETF는 원래 존재했던 ETF랑은 아주 성격이 다릅니다. "액티브 펀드"형 ETF 2종류가 이 글의 주인공인데요, 이 게시글에서는 먼저 "액티브 펀드"와 "패시브 펀드"의 특징과 장단점을 확인해본 후에 새롭게 상장하는 ETF 2종류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패시브 펀드란? "Passive Fund"라는 뜻 특정 주가지수에 속해 있는 주식들을 담아 지수와 같은 수익률을 달성하도록 운용하는 펀드 지수를 따라가도록 구성하기 때문에 시장이나 종목 분석에 드는 비용이 절감되므로 액..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