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주거실태조사 2

주택보급 수, 주택보급률, 주택이 부족한 이유 - 2020년 한국의 사회지표

사람의 삶에 반드시 필요한 3가지 요소는 "의식주"입니다. 옷, 먹을 것, 살 집은 절대 없어서는 안 되는 꼭 필요한 존재인데요, 국민 중 대다수가 내 집 마련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국민들의 부동산 관심도는 매우 높습니다. 모두들 내 집 마련의 꿈을 가지고 있는데, 그만큼 주택의 공급이 얼마나 있는지가 관건이 될 것 같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국내 주택보급 수와 주택보급률이 얼마나 되는지 통계자료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주택보급 주택 수 2019년 한국의 인구 1,000명당 주택 수는 411.6호이며, 2010년보다 54.8호, 2018년보다 8.5호 증가되었습니다. 수도권 3개 지역(서울/인천/경기)에서는 전국 평균을 크게 하회하며, 경기도가 374.3호로 가장 적습..

소득 대비 주거비, 주거 수준 통계 - 2020년 한국의 사회지표

국내에서는 "양극화"에 대한 키워드가 화두입니다. 2020년부터 2021년까지는 전국적으로 주택 가격이 정말 많이 올랐습니다. 특히 서울/경기 아파트값은 그 전과 비교하면 그야말로 천정부지로 올랐는데, 오른 시점을 기준으로 "아파트를 가지고 있던 사람"과 "가지고 있지 않던 사람"의 자산 차이가 많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부모가 물려줄 부동산이 없는 사회초년생들은 작금의 상황에 대해서 불만감을 표출하고 있다고 하네요. 연소득이 증가하는 속도에 비해서 집값이 상승하는 속도가 훨씬 빠른 관계로, 아무리 돈을 모으고 굴려도 자신의 명의로 된 집 하나 살 수 없는 상황으로 치닫고 있습니다. 통계청에서는 "2020년 한국의 사회지표"라는 보도자료를 내고 소득 대비 주거 지출 비율과 주거의 질 부문의 통계자료를..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