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 제도란?
개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대형금융회사의 부실로 인하여 금융체계상 혼란이 초래된 이후, 국제 사회는 G20을 중심으로 대형금융회사의 부실 발생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제도를 도입하였습니다.
설명
- 금융안정위원회(FSB)와 바젤위원회(BCBS)는 대형 금융기관이 초래하는 시스템 리스크에 대응하여 대형 은행이나 은행지주에 대한 감독 강화를 추진해왔습니다.
- FSB가 글로벌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G-SIB)를 선정하고 중요도에 따라 1%~3.5%의 추가자본 적립 의무를 부과합니다.
- 바젤위원회는 각 국가에서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D-SIB)을 선정하고 해당 은행에 추가자본 적립의무를 부과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구분 | G-SIB | D-SIB |
정의 | 글로벌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 | 국내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 |
평가주체 | 금융안정위원회(FSB) | 각국 감독당국 |
대상 | 글로벌 대형은행 | 국내 대형은행 |
추가 적립자본 | 1.0∼3.5% | 1.0~2.0% |
국내에서도 D-SIB를 선정 중
금융위원회는 위 권고에 따라 2016년부터 D-SIB를 선정하고 있습니다.
2021년 7월 13일에 금융위원회는 2022년도 D-SIB를 선정하였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항목 | 사명 |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지주 |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
금융체계상 중요한 은행 |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
- 금융체계상 중요도 평가 결과 신한금융지주, KB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신한은행, 국민은행, 우리은행, 하나은행, 농협은행,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이 D-SIB 선정 기준을 상회하였습니다.
- 다만, 한국산업은행, 중소기업은행의 경우 정부가 지분을 보유하는 공공기관으로 법상 정부 손실보전 조항이 있는 점을 고려하여 D-SIB에서 제외
- D-SIB로 선정된 금융기관은 금산법에 따라 자체정상화 및 부실정리계획 제도가 적용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D-SIB 의무사항
D-SIB에 선정된 금융기관에 대해서는 연간 1%p의 추가자본 적립의무가 부과됩니다.
기본적립비율(1) | 자본보전완충자본(2) | 경기대응완충자본(3) | D-SIB 추가자본(4) | 적립필요자본(1+2+3+4) | |
보통주비율 | 4.5 | 2.5 | 0.0 | 1.0 | 8.0 |
기본자본비율 | 6.0 | 2.5 | 0.0 | 1.0 | 9.5 |
총자본비율 | 8.0 | 2.5 | 0.0 | 1.0 | 11.5 |
자본보전완충자본(2)은 모든 은행에 상시 2.5%의 완충자본을 부과합니다.
경기대응완충자본(3)은 신용팽창기에 최대 2.5%의 완충자본을 부과 가능하며, 현재 0%입니다.
관련 글 더보기
2021.07.13 - [투자분석/꼭 필요한 금융지식] - 돈을 잘못보냈을 때 찾는 법) "착오송금 반환지원" 신청방법 알아보기
2021.06.03 - [투자분석/꼭 필요한 금융지식] - 정리) 간접금융시장, 직접금융시장이란? 차이점/특징
2021.03.18 - [투자분석/꼭 필요한 금융지식] - 정리) 금융소득종합과세, 비과세/분리과세 항목 - 절세 상품 추천
본 글은 금융위원회에서 발행한 보도차료를 참고하여 작성하였습니다.
'경제 개념정리 > 경제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30 청년 "첫 직장 월급" 얼마일까? - 2021년 청년층 경제활동조사(1) (0) | 2021.07.25 |
---|---|
2021년 상반기 "실업률,고용률,취업자수" - '코로나' 충격 얼마나? (0) | 2021.07.22 |
통계) 2020년 코스피 시장 PER, PBR, 배당수익률 정리 (0) | 2021.05.07 |
통계) 결혼 5년차 부부의 경제활동 현황 - 맞벌이/자가주택/출산 (0) | 2021.05.06 |
2020 연금저축 유형별 통계 - 적립금/수익률이 가장 좋은 곳은?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