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가장 문제 되는 사회현상은 단연코 "저출산"과 "고령화"를 꼽을 수 있습니다.
한국은 고령화가 OECD 37개국 중 가장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2041년에는 3명 중 1명이 노인이 된다고 합니다.
또한 한국의 노인빈곤율은 2018년 기준으로 OECD 1위라고 하니, 정말 크나큰 사회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국민이 노인이 되었을 때 보다 경제적으로 윤택한 삶을 살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여러 가지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데요, 대표적으로 "연금저축" 상품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연금저축" 상품은 보험, 신탁, 펀드 등 여러가지가 있으며, 연말정산 시 세액공제를 해주고 만 55세 이후 연금을 수령할 때 저율로 과세를 하는 등 정부에서 많은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이러한 연금저축 상품군의 현황과 수익률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연금저축 적립금 현황

- 2020년 말 연금저축 적립금은 총 151.7조원입니다.(2019년 대비 8.3조 원(5.7%)이 증가)
- 보험이 109.7조원으로 전체 연금저축 적립금의 72.3%를 차지하고 펀드(18.9조 원, 12.5%), 신탁(17.6조 원, 11.6%)을 차지합니다.
- 주식시장 호황과 신규계약 증가 등의 이유로 연금저축 펀드의 적립금 증가율이 신탁보다 높았습니다.
연금저축 연간 납입액 현황

- 2020년 연간 총납입액은 9.7조원입니다.(2019년 대비 143억 원(0.2%) 증가)
- 계약당 연간납입액은 350만 원으로, 2019년 대비 13만 원 증가되었습니다.
- 전체 연금저축 계약의 81.2%가 세액공제한도(400만원)이하로 납입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연금저축 신규계약 현황

- 2020년 연금저축 신규계약은 59.4만건입니다.
- 특히 연금저축펀드의 46.8만 건으로 2019년 대비 279.3% 증가되었지만, 연금저축보험은 12.6만 건으로 21.2%가 감소되었습니다.
- 2020년 주가 상승으로 ETF 등 펀드 매매를 위해 연금저축계좌 개설이 큰 폭으로 증가된 결과입니다.
연금저축 수익률 현황
구분 | 생명보험사 | 손해보험사 | 신탁 | 펀드 |
2019년 | 1.84% | 1.5% | 2.34% | 10.5% |
2020년 | 1.77% | 1.65% | 1.72% | 17.25% |
- 2020년 수수료를 차감한 연금저축의 수익률은 4.18%입니다.
- 펀드 수익률이 17.25%로 가장 높고,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신탁의 수익률 순입니다.
정리
- 2020년에는 주가가 크게 상승하였으며, 연금저축펀드의 적립금 및 계약건수가 대폭 증가되었습니다.
- 통계 기간 내 연금저축 수익률은 연금저축펀드가 10% 이상의 압도적인 수익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관련 글 보기
2020.12.21 - [경제 개념정리/경제통계] - 예상 은퇴 연령은 68.1세, 실제 은퇴 연령은? -노후생활 레포트
2020.12.10 - [경제 개념정리/경제통계] - 정리) 돈을 많이, 적게 쓰는 나이는? 연령별 생애주기적자 알아보기
'경제 개념정리 > 경제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계) 2020년 코스피 시장 PER, PBR, 배당수익률 정리 (0) | 2021.05.07 |
---|---|
통계) 결혼 5년차 부부의 경제활동 현황 - 맞벌이/자가주택/출산 (0) | 2021.05.06 |
2020 배당주 통계) 국내 주식 배당총액,배당성향,시가배당률 현황 (0) | 2021.04.27 |
2021년 글로벌 지역별 ETF 자산 순위, 1~6위는? (0) | 2021.04.25 |
주택보급 수, 주택보급률, 주택이 부족한 이유 - 2020년 한국의 사회지표 (1) | 2021.04.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