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인버스 ETF 2

SDOW - 다우존스 30 지수 -3배 인버스 ETF, 최근 수익률은?

한국에는 코스피 지수와 코스닥 지수가 있다고 하면, 미국에는 대표적으로 다우존스 30 지수, S&P 500 지수가 있습니다. 다우존스 30 지수는 미국의 대표적인 큰 기업을 30개 종목을 선정하여 약 100년 전부터 산출하던 지수로 역사가 매우 깊어서 미국을 대표하는 지수라고 여겨도 될 정도입니다. 위 그래프와 같이 역사적으로 다우존스 지수는 꾸준한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약간의 등락폭이 있긴 하지만 다우존스 지수에 장기 투자할 경우 많은 수익률을 안겨주게 되었는데요, 그만큼 미국이라는 나라가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다고 봐도 될 것 같습니다. 한편, 다우존스 지수가 단기적으로 하락하는 기간에는 수익률이 안좋을 수 있습니다. 아무리 장기투자를 지향하는 투자자라도 하락 혹은 횡보 기간에는 떨어지는 수익률에 ..

[미국ETF] HIBS - S&P500 기반의 인버스(x3) ETF 소개

2020년은 주식시장 호황세 2020년 한 해에는 코로나 19 바이러스로 촉발된 경기둔화를 예방하기 위해 각국에서 돈을 많이 풀어서 경기부양을 실시했습니다. 시장에 유동성이 커짐에 따라 많은 자금들이 주식시장으로 몰렸는데요, 특히 미국의 대형 기술주가 중심이 되어 주가를 끌어올렸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횡보장 없이 전체 증권시장에서 꾸준한 상승이 특징이었습니다. S&P 500 지수는 연초 코로나 19 사태로 인해 2,200 포인트까지 떨어졌다가 2021년 1월에는 4,000 포인트를 앞두고 있는데요, 2021년에는 2년 전 대비 2배로 오를 가능성도 있어 보입니다. 앞으로의 시장 상황 예측, 상승 vs 하락? 이렇게 주식시장에 꾸준히 상승하는 상황에서 우리는 두 가지 생각을 해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