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시아 투자 2

ETF 분석) BBAX - 일본을 뺀 아시아 선진시장에 투자하는 ETF

국내에서는 2019년부터 "NO JAPAN" 운동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일본과 관련된 회사의 용역이나 상품을 구입하지 말자는 운동인데요, 실제로 많은 시민들이 참석하고 있다는 것이 유의미한 성과로 나타났습니다. 일본을 대표하는 맥주 브랜드인 "아사히"는 전체 판매 순위에서 10위권 밖으로 밀려나고, 매출이 1/20으로 줄어들었다고 하는데요, 이와 같이 우리 사회 전반에서 일본과 관련된 사업에 영향이 있어 보이네요. 한편, 국내외 시장에 ETF로 투자한다면 투자자의 의지와 상관없이 일본과 관련된 기업에 간접적으로 투자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전 세계의 기업을 지수에 포함하는 ETF 상품이라면 리밸런싱과 함께 일본 기업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미국에 상장된 ETF는 아주 다양한 방법론으로 ..

KINDEX S&P아시아TOP50 분석 - 아시아 국가에 분산 투자

많은 개인투자자들이 해외로 투자처를 옮기고 있다고 합니다. 일명 "박스피"에 갇힌 한국 주식은 뒤로 하고, 수익률이 좋은 해외로 달려간 것입니다. 대다수의 투자자들은 미국 시장에 대부분 투자했는데요, 미국 시장이 세계 금융의 중심이고 성장성이 높은 회사도 미국에 많은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미국에만 투자하는것도 다시 돌아보면 위험도가 없다고는 할 수 없습니다. 미국 시장이 지난 10년간 호황이었지만 미래는 모르는 것이기에 투자금이 어떻게 될지 모르는 것이죠. 그렇다고 해서 미국 시장이 수익률이 아주 무너질 가능성은 현저히 적지만, 그 사이에는 다른 많은 국가들의 수익률이 더 좋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해외주식에 투자한다면 투자국가를 세분화해서 분산 투자하는 것도 리스크를 줄이는데 좋은 방법인 것 같습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