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TF 리뷰/국내 ETF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 - 금을 레버리지(x2)로 투자하는 ETF

한그마 2021. 5. 10. 07:30

2021년 들어서 새로운 투자 대상으로 다양한 상품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상화폐 시장이 뜨거운데요, 가상화폐 시장의 전 세계 일간 거래량이 한국 주식시장을 추월했다고 합니다.

전통적인 투자자산이었던 주식과 부동산에 이어서 신흥 투자수단으로 가상화폐에 관심이 많아진 것입니다.

하지만 가상화폐는 변동성이 크고 그 실체를 누군가 담보하지 않는다는 면에서 투자 위험성이 매우 큽니다.

주식 투자는 사업을 하는 회사가 실체가 있고, 국채는 발행하는 주체가 정부라는 면에서 안정성이 있지만 가상화폐는 그 누구도 담보하지 않는 말 그대로의 "가상자산"이기 때문에 기존의 금융시장과 비교한다면 위험성이 있는 것입니다.

이와 반대되는 개념으로 "금"이 있습니다.

금은 수천년 전부터 인간에게 귀금속으로 여겨졌으며, 사치 수단뿐만 아니라 생활에도 큰 영향을 주는 광물입니다.

새로운 금융시스템이 등장한다고 해도 금의 가치는 그대로 있으며, 이와 같은 특성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지켜준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금의 가치는 그대로 있지만, 경제 상황에 따라서 금의 가격은 수시로 변동합니다. 현재 시점보다 금의 가격이 떨어질 수도 있고 상승할 수도 있는데요, 만약에 금의 가격이 상승한다고 예상된다면 실물 금보다는 금 레버리지 상품에 투자해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금에 투자하되, 금의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ETF인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ETF 개요

상품명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종목 코드 225130
상장일 2015년 7월 28일
자산운용사 한국투자신탁운용
기초지수 S&P GSCI GOLD Index Excess Return
지수 산출기관 S&P
총 보수 0.49%
시가총액 248억원
20일 평균거래량 21,979주
  • 이 ETF는 "골드선물"의 일간수익률 2배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 장외파생상품이 주된 투자대상자산이며, 미국 S&P사가 운용하고 있는 금 가격 지수가 기초지수입니다. 이 지수의 2배를 추종합니다.
  • 환헤지 상품으로, 원달러 환율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운용 수수료는 0.49%로 적은 수준입니다.

ETF 특징

  • 이 ETF는 레버리지 상품 및 장외파생상품으로 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레버리지 복리효과 및 장중 거래 투자위험성이 존재합니다. 자산운용사는 이 ETF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특수위험"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구분 설명
레버리지에 따른 투자위험 이 투자신탁은 투자목적 달성을 위해 장외파생상품 등을 활용하여 이 투자신탁의 일간 수익률이 기초지수의 일간수익률의 2배 수준과 유사하도록 운용합니다. 예를 들어 기초지수가 일간 -10%의 수익률을 보일 경우, 투자자는 일간 -20%에 상당하는 손실에 노출됩니다. 이와 같이 투자자는 기초지수의 하락률보다 더 큰 손실이 발생할 수 있 고, 특히 기초지수가 등락을 반복하거나 변동성이 확대될 경우에는 손실이 더욱 확대 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이 투자신탁은 매우 높은 위험을 감내할 수 있고 레버리지 효과 및 주식시장의 변동성을 이해하며 재무지식을 보유한 투자자에게 적합한 고위험 상품입니다.
레버리지 복리 효과에 의한 위험 이 투자신탁의 성과는 기초지수의 일간수익률의 2배에 연동하도록 운용합니다. 이러한 레버리지 투자는 복리효과로 인해 기간수익률은 기초지수 기간수익률의 2배와 유사하 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주식시장의 변동성이 확대될수록 이러한 레버리지 투자의 복리효과가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이는 기초지수 기간수익률의 2배와 이 투자신탁의 수익률의 괴리가 크게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기초지수가 하락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이 투자신탁에 손실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장중거래에 따른 투자위험 이 투자신탁은 일간을 기준으로 투자목표의 달성을 추구하기 때문에 일간보다 짧은 기간 동안 투자하는 경우 기초지수의 2배의 수익률을 이룰 수 없습니다. “일간” 이란 특 정일의 장마감 시점부터 그 다음 거래일의 장마감 시점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투 자자가 특정 거래일의 장마감 후 이 투자신탁을 매수하고 다음 거래일의 장마감 전에 이 투자신탁을 매도하는 경우 투자자의 수익률은 기초지수 수익률의 2배와 달라질 수 있으며, 이 차이는 투자자가 투자신탁을 매수하고 매도하는 시점에 투자신탁의 기초지 수에 대한 노출정도 즉, 기초지수의 움직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 현재 시점의 기초지수와 비교하여 괴리율이 2% 이내로 관리되고 있지만, 투자 시점에 따라서 현재 지수와 수익률이 크게 차이가 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ETF 성과

수익률

  • 1개월 수익률 : 9.53%
  • 3개월 수익률 : 1.11%
  • 1년 수익률 : 1.52%

금 ETF와 비교

파란색 :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빨간색 : SGOL(미국 금 가격 1배 ETF)

위 그래프는 2020년 5월부터 2021년 5월까지 미국 금 가격 1배 ETF인 "SGOL"과 비교한 그래프입니다.

그래프에서 보시는 바와 같이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 상품은 금 가격보다 변동성이 더욱 심하며, 금 가격이 가장 높았을 때인 2020년 8월에는 1 배수 ETF보다 무려 30%의 수익률 차이를 보여줍니다.


마치며

지금까지 금 가격 2배수를 추종하는 ETF인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합성 H)" 상품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앞으로 금 가격이 상승할 것이다라고 예측한다면 일반 금 투자 상품보다는 골드선물 레버리지 상품을 매수해서 더 좋은 수익률을 기대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